동화 속 풍경
close
프로필 배경
프로필 로고

동화 속 풍경

  • 분류 전체보기 (187)
    • 동화 (30)
    • 수필 (36)
    • 잡학 (120)
  • 홈
  • 동화
  • 수필
  • 잡학
물은 왜 투명할까?

물은 왜 투명할까?

물은 수소(H)와 산소(O) 두 가지 원소가 결합한 H₂O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이러한 물 분자는 빛을 흡수하지 않고 통과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 우리가 보는 빛은 빨강, 파랑, 노랑 등 다양한 색깔로 이루어져 있죠. 물 분자는 모든 색깔의 빛이 그냥 지나갈 수 있어, 특정한 색이 아닌 투명한 모습으로 보이게 됩니다. 빛은 여러 파장(빛의 길이)을 가지고 있는데, 물은 가시광선(우리가 볼 수 있는 빛의 파장)을 대부분 통과시킵니다. 반면에, 적외선이나 자외선과 같은 가시광선 밖의 파장은 물이 조금 흡수하기도 해요. 하지만 이런 빛은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물의 색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. 그래서 물은 우리 눈에 투명하게 보이는 거죠. 일반적으로 물은 얕은 곳에서는 투명하게 보이지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잡학
  • · 2024. 11. 6.
  • textsms
골디락스존 (생명체 거주 가능 지역)

골디락스존 (생명체 거주 가능 지역)

골디락스존(Goldilocks Zone)은 우주에서 행성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영역입니다. 골디락스존이라는 이름은 잉글랜드 동화인 "골디락스와 세 마리 곰"에서 따온 것으로 동화에서 골디락스는 너무 뜨겁지도 않고, 너무 차갑지도 않은 "딱 좋은" 죽을 찾는 내용입니다. 골디락스존도 이와 비슷하게 너무 뜨겁지도 않고, 너무 차갑지도 않은 딱 적당한 온도를 가진 영역입니다.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예로 들어 지구는 태양에서 딱 적당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어서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. 만약 지구가 태양에 너무 가까이 있었다면 물은 모두 증발해버려서 생명체가 살기 어려웠을 것이고 반대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었다면 물이 얼어붙어 역시 생명체가 살기 어려웠겠죠. 그래서 과학자들은 다른 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잡학
  • · 2024. 8. 21.
  • textsms
  • navigate_before
  • 1
  • navigate_next
최근 글
인기 글
전체 카테고리
  • 분류 전체보기 (187)
    • 동화 (30)
    • 수필 (36)
    • 잡학 (120)
태그
  • #수용체
  • #소금
  • #겨울
  • #바다
  • #지구
  • #크기
  • #산소
  • #심장
  • #동화
  • #에너지
Copyright ©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.
Designed by JJuum

티스토리툴바